![](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dDlcs/btrLhIgG2ta/tWoS2DVQiRJxRaBS8xK5Jk/img.png)
2022.05.22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7_워크로드 API(Daemonset, Statefulset) 참조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2847901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 YES24 일본 아마존 쿠버네티스 분야 베스트셀러 1위! 쿠버네티스 버전 1.18로, 쿠버네티스의 기본부터 실무까지 총망라! 쿠버네티스 환경, 버전, kubectl 버전, 그 외 시스템 버전 업데이트! 쿠버네티스 1.1 www.yes24.com JOB 앞서 다룬 여러 워크로드 API들과 동일하게 JOB 역시 하나의 Kind이고 Pod를 띄우는 워크로드이다. JOB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딱 한 번만 실행되는 리소스이다. 일반적인 replica set으로 구성..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yYB2/btrCOLkk2Bm/DzvAZgqMgB6frrUDNkqatk/img.png)
2022.03.06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6_워크로드 API(Pod, Replicaset, Deployment) 위 본문을 통해 쿠버네티스 워크로드 API 종류 3개를 먼저 공부해봤다. 지난회차에 다룬 것들이 훨씬 사용 빈도도 높고 대부분 일반적인 서비스에서는 보다 필수적으로 알아야 한다. 특히 기타 다른 워크로드 API들의 기본이 되는 POD는 조금 더 친해지고 더 많이 알아보길 바란다. 시작하기전에 서비스 별로 환경을 구분짓기위해서는 크게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다. - 클러스터를 서비스 별로 나누거나 (무모하고 낭비도 큰 방법일수있다.) - 하나의 클러스터 안에서 네임스페이스 별로 나누거나 (흔한 방법.) 참조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마사야 아오야마) 실무를 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3DRGz/btrvduElJF1/yZBf14KYizisBx3cOuzCyK/img.png)
시작하면서 두 번째 세션에서 쿠버네티스의 API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있다고 공유했다. 이제 그 시작인 워크로드 API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며, 해당 영역은 실무와 굉장히 밀접하고 필수적이다. 시작하기전 아래 사항을 다시 한번 rewind 하고 minikube start를 통해 테스트 환경을 준비하자. 참조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마사야 아오야마) 실무를 통한 경험 Workload API Workload API는 클러스터에 컨테이너를 기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이다. 내부에서 사용되는 리소스도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리소스는 아래와 같다. Pod Replication Controller Replicaset Deployment Demonset Statefullset Job CronJob 하지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zeQp/btrtq8WJT83/hIASVE1eE8cFIO0JNpSPKk/img.png)
2022.01.29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4_리소스 생성, 삭제, 갱신 아무것도 모른채 pod를 생성해 보았다. pod를 생성할 때에 kubectl을 사용하였는데 이 kubectl은 단순히 pod를 생성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역할을 한다. 사실상 kubectl을 다룰줄 알아야 쿠버네티스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띄우고, 문제상황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 kubectl의 명령어는 굉장히 많아서 전부 다루지는 못하고, 서적에 나와있는 것 위주와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위주로 사용해본다. 출처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시작하기전에 쿠버네티스는 사용하다보면 여러 클러스터를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작업은 로컬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내가 어디 클러스터에서 있는지 직관적으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jvA3O/btrrDOZROCI/1s8MtPw9CcZeWi7cKUNXwK/img.png)
2021.12.18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1_개요 및 스터디 계획 2021.12.25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2_쿠버네티스 기초와 kubectl 2022.01.02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3_kubectl 이제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정말 아무것도 모르겠지만 pod라는 것을 생성해보려고 한다. 다만, 이번 글의 목적은 'pod의 개념을 이해하고 pod를 생성해서 활용한다!' 가 아닌, 쿠버네티스에서 어떻게 우리가 오브젝트를 선언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지 그 원리만 가볍게 본다고 생각하자. 출처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workloads/pods/ 쿠버네티스 완..
2021.12.18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1_개요 및 스터디 계획 2021.12.25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2_쿠버네티스 기초와 kubectl 참조 서적: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https://kubernetes.io/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onfigure-access-multiple-clusters/ 개요 기존 VM 쓰던 상황에서는 putty나 툴을 이용해서 ssh 접속을 하고, 그 안에서 서버에 필요한 작업들을 진행했다. kubectl의 클러스터를 조작하려면 그럴필요 없이 마스터 API 조작을 통하여 진행하면 된다.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이 kubectl 이라는 CLI (comma..
2021.12.18 - [Devops 2회차/K8S Study] - K8S-01_개요 및 스터디 계획 참조 서적: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쿠버네티스 API 공식문서: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overview/kubernetes-api/ The Kubernetes API The Kubernetes API lets you query and manipulate the state of objects in Kubernetes. The core of Kubernetes' control plane is the API server and the HTTP API that it exposes. Users, the different parts of your cluster, and ex..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skGjL/btrn7q2PP3n/ulkmRBgsfFgDC29C0ibwf0/img.png)
개요 쿠버네티스는 대규모 운영 시스템에서 다양한 리소스를 무엇보다 쉽고 편하게 컨트롤 할 수 있게끔 해준다. 그렇게 편리한 만큼 그 내부 구조는 복잡하고 파면 팔 수록 끝이 없다. Devops 2회차에 접어들면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실무+공식문서+서적 등으로 어느정도 운영을 하고 있지만 좀 더 깊이 공부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기술의 도입은 항상 서적과 함께 하는 편이다. 쿠버네티스를 처음 배울 때에도 서적을 구매하였지만 실무적인 목표 일정에 쫓겨 정독할 수는 없었다. 필요할때만 부분부분 확인하면서 필요한 이론들을 가져갔는데, 이제는 정독해보며 실습과 실무에서 나오는 여러 경우들을 포함하여 이 블로그에 기록하고자 한다. 내 블로그의 가장 첫번째 Index는 '참조' 칸이다. 내가 쓰..
- Total
- Today
- Yesterday
- k8s명령어
- synology nas router manual setup
- 쿠버네티스 시작
- 쿠버네티스스터디
- kubectl기본명령어
- 맥북창정렬
- 데몬셋
- kubectl
- 쿠버네티스 기초
- 쿠버네티스 API 리소스
- 맥북초기세팅
- 쿠버네티스공부
- k8s study
- M1세팅
- kubeconfig
- 맥북개발자세팅
- 맥북초기셋팅
- 쿠버네티스
- k8s workload api
- k8s pod
- 맥북프로m1세팅
- 데몬셋업데이트
- k8s기초
- kubectl command
- k8s가이드
- k8s kubeconfig
- k8s스터디
- 쿠버네티스명령어
- sk브로드밴드 nas
- k8s job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