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초 작성일: 2018.06.18
DOCBASE와 APPBASE
*Appbase와 DOCBASE 모두 Document ROOT를 지정해 주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들을 이용하여 톰캣ROOT를 설정해 줄 수 있다. 톰캣의 경로를 설정해 주기 위해서는 <HOST> 태그 내부의 appBase를 바꿔주거나, 그 하위 태그인 <Context>태그의 docBase를 바꿔주는 방법이 있다.
Tomcat의 경우 기본적인 Document Root는 Webapps/ROOT가 디폴트이다.(8080 or ROOT)
<Host>의 appBase는 $Catalina_home 디렉토리 밑의 상대경로를 인자로 받게 된다. 즉, appBase="webapps" 로 경로를 지정해 준다면 실제 주소는 $Catalina_home/webapps가 기본 Document Root가 되는 것이다.
만일 defailt ROOT를 경로로 사용하고 싶다면 HOST 태그 바로 아래에 <Context path="" docBase="." reloadable="true"/>만 추가해주면 된다.
<Context> 태그를 사용하여도 appBase의 하위 디렉토리를 도큐먼트 루트로 설정할 수 있다.
위의 <Host> 설정을 한 뒤 아래에 <Context> 태그에 docBase = "web" 으로 설정한다면 그 경로는 webapps/web폴더로 매핑이 되는 것이다.
즉, docBase를 쓰는 이유는 자신이 원하는 경로에 Document를 저장 하기 위함이다.
APPBASE
autoDeploy : F이면 WAR파일의 디렉토리도 생성되지 않고 파일이 배포되지도 않는다.
DOCBASE
relodable : T 값을 주게 될 경우 모든 값의 변경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면서 변경을 바로바로 적용한다. 하지만 이는 곧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kubeconfig
- k8s가이드
- 맥북프로m1세팅
- synology nas router manual setup
- kubectl기본명령어
- M1세팅
- k8s스터디
- k8s job
- sk브로드밴드 nas
- 맥북초기셋팅
- kubectl command
- 쿠버네티스
- 데몬셋업데이트
- 쿠버네티스명령어
- k8s pod
- k8s workload api
- 데몬셋
- 쿠버네티스 기초
- 쿠버네티스 API 리소스
- 맥북개발자세팅
- 쿠버네티스스터디
- 쿠버네티스 시작
- kubectl
- k8s명령어
- k8s study
- k8s기초
- k8s kubeconfig
- 맥북창정렬
- 맥북초기세팅
- 쿠버네티스공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